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업계 노트

부동산 업계 취업 준비 총정리

by 물쭈 2022. 8. 23.
반응형

부동산 업계 취업 준비 시 필요한 채용과정, 채용 시 유의사항, 채용 시 필요스펙 등을 

자세히 정리해보았습니다. 

참고하시어 성공적인 취업을 이루시기를 기원합니다. 

목차

1. 채용과정

2. 채용 시 유의점 

3. 채용/인턴 시 필요스펙

 

채용과정

부동산 업계의 채용 과정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이루어집니다. 

 

인적성 검사 > 1차 면접(실무진) > 2차 면접(임원진) > 3차 면접(대표이사) > 합/불 여부 

 

먼저 인적성 검사GSAT 유형과 비슷하게 나온다고 합니다.

BUT, NH, 하나, KB와 같은 금융계열 대기업 산하 신탁사, 증권사 등은 다소 다른 유형의 인적성 문제가 나온다고 들었기 때문에 따로 대비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다음으로 면접입니다. 

1차 면접에서는 대부분 전공 및 직무에 관련된 것들을 묻는 다고 합니다. 

1분 자기소개, 자격증 취득 이유, 전공을 통해 무엇을 배웠나, pf 직무 선호 이유 등이 있씁니다ㅏ. 

특히 자격증 취득 이유에 관해서도 잘 대답할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단순히 자격증을 취득했다는 사실만이 취업에 도움이 되는 것이 아니라, 그 자격증을 어떻게 활용하기 위해서 취득했고 실제로 어떤 식으로 활용했는 지가 더욱 중요해보입니다. 

 

2차 면접은 1차 면접을 바탕으로 인성적인 부분을 묻는 다고 합니다. 

부동산 관심 계기, 인생에서 후회되는 점을 말합니다. 

 

3차 면접인성과 창의적 문제를 다룬다고 합니다. 

앞으로 도시의 미래, oo사업의 대처에 대한 가치판단 등이 있습니다.  

 

 

채용 시 유의점 

채용단계에서는 회사에 대한 업무 이해도, 자신의 전공을 살리려는 것이 중요해보입니다. 

 

1) 업무 이해도

주니어에게 엄청나게 깊은 업계 지식을 요구하는 것은 아니지만 

업계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대답할 수 있어야 합니다. 

학회활동 등을 통해 실무자를 만나고, 가상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각 부동산 player에 대한 이해도를 키워나가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자소서나 면접도 지원하는 회사에 맞추어서 다듬어 말하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 

다 같은 부동산 관련 회사이더라도 각자의 요구사항, 업무, 추구방향이 조금씩 다릅니다. 

그 차이에 주목하고 그에 맞게 자소서를 작성하고, 면접에 임한다면 

그 회사에 더욱 적합한 사람으로 여겨질 가능성이 높을 것입니다. 

 

2) 전공 장점 부각 

부동산 pf 업무에는 건축공학. 토목공학. 건축학. 경제학. 경영학 등 다양한 전공의 사람들이 모입니다. 

따라서 자신의 전공이 pf 업무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을 지 어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공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전공과 관련된 시사적 이슈에 관심을 갖는 것이 필요합니다. 특히 부동산 업계의 경우, 정치적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부동산 정책에 관심을 갖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채용/인턴 시 필요 스펙

채용과정에서 필요한 스펙을 중요도에 따라 나누어 본 후, 분야별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인턴 > 자격증 (공인중개사, 투운사, 전산회계) > 대외활동 > 어학성적 

 

 

1) 자격증

공인중개사, 투자자산운용사, 전산회계, 신용분석사 등이 있습니다. 

 

일단 투운사는 인턴 지원자들이 하나씩은 가지고 있는 자격증으로 생각됩니다. 

공인중개사는 업계에 대한 심화적인 지식을 갖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므로, 강력한 무기를 들고가는 것과 같다고 합니다. 

 

2) 어학성적  

증권사 쪽, 특히 부동산 pf에서는 영어성적보다는 다른 역량을 많이 본다고 합니다. 

또한 면접과정에서 영어에 대한 질문은 없었다고 합니다. 

취득하신다면 오픽을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3) 관련 활동

관련 활동에는 인턴과 학회, 대외활동, 동아리가 있을 것입니다. 

 

먼저 인턴입니다.  

채용과정에서 가장 필요한 스펙인 인턴을 위해서는 자격증이나 각종 학회 등을 통해 이 부동산업에 대한 이해도를 심화하고 열심히 하겠다는 애티튜드를 보이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 같습니다. 

트특히 해당 회사에 대한 관심을 보여주기 위해, 해당 회사의 영업이익 추이와 그 원인, 앞으로의 사업 방향에 대한 것을 공부하고 가시면 더 잘 어필이 될 것 같습니다. 

 

다음으로 학회활동입니다. 

학회에서는 가상 프로젝트를 통해 실제 IM자료를 작성하는 등 현업과 비슷한 활동들을 많이 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프로젝트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업무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또한 강연을 통해 실무진과 적극적으로 대화하면서 업계에 대한 정보를 얻어가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

댓글